무역회사와 포워딩업체의 차이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Zili 작성일25-07-07 02:27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무역 무역회사 회사에서 많이 쓰는 용어 영어 30개!무역회사에 첫 출근했을때가 생각나네요!FOB 조건으로 진행하겠습니다TT결제 진행됐는지 알아봐!ETA가 다음주라고하네요!등등진짜 등에서 식은땀이 줄줄사실 다 이론으로 배운거여도실무에서 사용을 안해봤다면헷갈릴수도 있는데요!이번기회에 한번 다시한번 익혀보시고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무역 용어 30개를먼저 알려드릴게요!무역회사에선 무조건 쓰는무역 용어 단어 30개1. B/L (Bill of Lading) – 선하증권‘비엘’이라고 불리는 문서로, 화물이 선박에 실렸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수출입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로,이 문서를 가진 사람이 화물의 소유권을 가집니다.예를 들어, 수입자가 이 서류를 받아야 세관에서 물건을 찾을 수 무역회사 있습니다2. C/I (Commercial Invoice) – 상업송장판매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 개념의 문서입니다.제품명, 수량, 단가, 총액, 조건(FOB, CIF 등)이 포함되며, 통관 시에도 필요한 중요한 서류입니다.3. P/L (Packing List) – 포장명세서물품이 어떻게 포장되어 있는지, 몇 박스인지, 중량은 어떤지 등을 자세히 적은 서류C/I와 함께 세관에 제출되며, 물류팀이나 창고팀도 참고하는 문서4. C/O (Certificate of Origin) – 원산지 증명서제품이 어느 나라에서 생산되었는지를 증명하는 문서FTA 협정국 간에는 이 서류를 제출해야 관세가 감면되거나 면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5. T/T (Telegraphic Transfer) – 전신 송금은행을 무역회사 통해 돈을 바로 송금하는 방식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결제 수단이며,리스크가 낮은 경우 많이 사용됩니다6. L/C (Letter of Credit) – 신용장수입자의 은행이 수출자에게 대금을 지급하겠다고 보증하는 서류서로 신뢰가 부족한 거래에서 주로 사용되며, 비교적 안전한 결제 방식입니다7. FOB (Free On Board) – 본선 인도 조건판매자가 선박에 물건을 실어주기까지만 책임지고, 그 이후 운송이나 보험은 구매자가 책임지는 조건!“FOB 부산”이라면, 부산항까지는 판매자가 책임진다는 의미입니다8. CIF (Cost, Insurance, Freight) – 운임·보험료 포함 조건판매자가 운송비와 보험료까지 부담하는 조건수입자 입장에서는 물류 부담이 무역회사 덜합니다9. EXW (Ex Works) – 공장 인도 조건판매자가 제품을 공장에서 인도하면 그 이후부터는 구매자가 모든 것을 책임지는 조건가장 간단하고 판매자에게 유리한 조건입니다10. D/P (Documents against Payment) – 지급인도 조건수입자가 대금을 지불해야만 수출자가 서류를 보내주는 조건입니다.서류를 먼저 받고 돈을 나중에 주는 D/A와 비교되는 개념입니다11. 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 도착 예정일배나 비행기가 언제 도착할지 예상하는 날짜“ETA는 7월 8일 예정입니다”라고 하면, 그날쯤에 물건이 들어온다는 뜻입니다12. ETD (Estimated Time of Departure) – 출발 예정일선박이나 항공기가 무역회사 출발하는 날짜선적 일정 확인 시 자주 쓰입니다13. CY (Container Yard) – 컨테이너 야드항구 내에서 컨테이너를 보관하고 싣고 내리는 공간수출입 시 선적 지시서에 자주 등장합니다14. CFS (Container Freight Station) – 혼재 창고여러 회사의 물품을 하나의 컨테이너에 같이 실을 때 사용하는 창고소량 수출입에 자주 사용됩니다15. Booking – 선적 예약배나 비행기에 자리를 예약하는 것. 포워더나 선사에 ‘Booking Request’를 보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16. Shipper – 송하인물건을 보내는 사람, 일반적으로 수출자B/L 작성 시 필수 항목입니다17. Consignee – 수하인물건을 받는 무역회사 사람, 즉 수입자B/L나 Invoice에 필수로 들어가는 항목입니다18. Carrier – 운송인선박회사, 항공사 등 실제로 물건을 이동시키는 업체입니다19. Freight – 운임화물을 운송할 때 드는 비용!CIF 가격에 포함되거나 따로 정산될 수 있습니다20. Demurrage – 체선료컨테이너를 정해진 기간 내에 반출하지 않으면 부과되는 보관료!지연 시 꽤 큰 비용이 나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21. Quotation – 견적서물건의 가격, 수량, 조건 등을 정리한 제안서!고객이 처음 가격 요청을 할 때 “Please send your best quotation”이라는 표현을 자주 씁니다22. Lead Time – 무역회사 리드타임주문 후 납품까지 걸리는 전체 시간!생산 기간 + 선적 시간 등을 모두 포함한 개념입니다23. MOQ (Minimum Order Quantity) – 최소 주문 수량제조사가 요구하는 최소 구매 단위!“MOQ는 1,000pcs입니다”라는 식으로 많이 사용됩니다24. Sample – 샘플정식 발주 전에 테스트용으로 보내는 제품품질 확인용으로 필수입니다25. Inspection – 검사물품 출고 전이나 수입 후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제3기관 검사나 자체 검사가 있을 수 있습니다26. Terms &Conditions – 거래 약관거래 시 필요한 조건, 책임, 보증 등을 명시하는 항목!계약서 하단에 자주 보입니다27. Valid 무역회사 until – 유효기간견적서나 제안 조건의 유효 기한! 일반적으로 “Valid until July 15, 2025”와 같이 작성합니다28. Shipment – 선적물품을 배나 비행기에 실어 보내는 행위! ‘Shipment Schedule’이라는 말로 자주 쓰입니다29. Payment Terms – 결제 조건결제 방식(T/T, L/C 등)과 결제 시점(선불, 후불 등)을 포함한 조건30. In stock / Out of stock – 재고 있음 / 없음제품의 재고 여부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표현거래처가 “Is this item in stock?”이라고 물어보면 재고가 있는지 묻는 것이죠알고 사용하시면 무역회사에서유용하게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