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작하는 법, 4월 3주 차 책쓰기 수업 후기 > 노동상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노동상담

습작하는 법, 4월 3주 차 책쓰기 수업 후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Becky 작성일25-04-29 07:19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책리뷰 책쓰기수업 No.489쓰기의 감각, 글쓰기 수업 책, 앤 라모트​​쓰기의 감각, 글쓰기 수업 책, 앤 라모트​;의 저자 '앤 라모트'는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이며 미국에서 '대중의 작가'로 불릴 만큼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미국의 수많은 작가 지망생에게 필독서이자 위로와 용기를 북돋는 인생 책으로 꼽힌다. 오랫동안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들려준 모든 노하우와 함께 작가로 살아간다는 것의 실체를 신랄하고 유머러스하게 책쓰기수업 펼쳐 놓았다.​​쓰기의 감각, 글쓰기 수업 책, 앤 라모트​​이 책은 작가라는 직업이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환상적이지도 그렇게 아름답지도 않다는 걸 어쩌면 고통의 연속일지도 모른다고 말한다.​글쓰기 수업 책이지만 작가의 생생한 경험담은 글쓰기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그로 인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해주는 거 같기도 하다.​​쓰기의 감각, 글쓰기 수업 책, 앤 라모트​글쓰기를 시작하려면​p.42나는 그렇게 대답한다. 책쓰기수업 일단 그 시절 속으로 과감히 뛰어든 다음 최대한 진실하게 당신의 기억을 모두 적어 내려가는 것이다.​p.67당신 내면에 존재하는 아이 같은 부분이, 어떤 목소리나 그림이 튀어나온다 하더라도 개의치 말고 모두 종이에 적기만 하면 된다.​p.71거의 모든 명문도 형편없는 초고에서 시작된다. 당신은 일단 무슨 문장이든 써볼 필요가 있다. 내용은 상관없다. 시작이 반이라고, 종이 위에 쓰기 시작한 것이 중요하다.처음 글쓰기를 시작할 책쓰기수업 때 무척 막막하다면 저자는 나의 어린시절부터 기억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낱낱이 적어 보고 너무 잘 쓰려고 생각하지 말고 그냥 쓰기 시작하라고 한다.​베스트셀러 작가 조차도 처음부터 우아한 초고를 쓰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말하며 사람들이 읽을까 봐 걱정될 수준의 일관성도 내용도 문장도 제멋대로인 글을 쓰며 시작한다.​글을 잘 쓰고 싶다는 생각은 늘 하고 있다. 문제는 생각만 하고 글쓰는 책쓰기수업 법을 배우거나 노력은 하지 않으니 예전이나 지금이나 글쓰기 실력은 거의 변화가 없다.​유년시절의 기억을 생각나는대로 기록하는 것도 꽤 흥미롭단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쓰다보면 글쓰는 재미 뿐 아니라 '나'라는 사람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본다.​​쓰기의 감각, 글쓰기 수업 책, 앤 라모트​글을 쓰는 이유​p.351그렇다면 도대체 우리는 왜 글을 써야 하는 거죠?나의 대답은 이것이다. 바로 영혼 때문이라고, 책쓰기수업 마음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글을 쓰고 읽는 일은 우리의 고독을 덜어준다.그것은 인생에 대한 우리의 감수성을 깊고 넓게 확장시킨다. 한마디로 그것은 우리 영혼의 양식이다.​p.349명예와 부의 측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지 상관없이, 글쓰기에 헌신하는 일은 당신을 이전보다 한 단계 더 성숙한 인간으로 만들어 줄 것이다.​사람들이 글을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자신이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글들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자 책쓰기수업 그들의 해결책을 얻는데 조금이라도 기여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쓴다.​이렇게 좋은 마음으로 책을 쓰는 작가님들 덕분에 책을 읽고 마음을 정화시키고 인생도 잘 흘러가게 살아가고 있다. ​글을 쓴다는 건 참 행복한 일이다.나를 돌아보고 나를 알아가고 나라는 존재가 살아있음을 실감하게 하는 게 글이라는 생각이 든다.​글을 쓰지 않으면 과거의 내 모습은 나의 기억 속에서 조차도 사라져 버리고 나조차 책쓰기수업 나를 기억하지 못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쓰기의 감각, 글쓰기 수업 책, 앤 라모트​글 쓰는 일의 진정한 보상은바로 글쓰기 그 자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쓰기의 감각 중​언젠가 이런 마음을 느낄 날이 오길 기대하며...... 오늘도 이렇게 한 편의 리뷰를 마무리 해본다.​작가가 되고 싶은 분들 뿐만 아니라 글쓰기에 대한 고민이 있는 분들 이라면 꼭 읽어보길 추천한다. ​​2025년 3월 489번째 독서기록쓰기의 책쓰기수업 감각앤 라모트웅진지식하우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NO COPYRIGHT! JUST COPYLEFT!
상단으로

(우03735)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 197 충정로우체국 4층 전국민주우체국본부
대표전화: 02-2135-2411 FAX: 02-6008-1917
전국민주우체국본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