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정사업본부 노동자 가운데 39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과로사’로 불리는 뇌심혈관계질환 사망이 10명, 자살이 9명이다. 연간 2천869시간에 달하는 초장시간 노동이 부른 죽음의 그림자다.

22일 <매일노동뉴스>가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입수한 ‘2017년 우체국 현직 직원 사망자 명단’을 보면 지난해 사망한 우정노동자는 39명이다. 사인을 보면 뇌심혈관질환과 암이 각각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자살 9명, 교통사고 8명, 간경화 등 질병 사망자 2명으로 집계됐다.

39명 중에서 8명이 업무상재해로 인정받았다. 교통사고 3명을 제외한 5명은 과로사·과로자살이다. 우정사업본부가 아니라 ‘과로사업본부’로 불릴 만하다. 2016년 우리나라 사망만인율(노동자 1만명당 산재사망자 비율)은 0.96이다. 지난해 우정본부 사망만인율은 무려 2.09다. 우정본부에서 일하다 죽을 확률이 다른 사업장의 두 배가 넘는다는 의미다.

산재 인정 사례는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12월22일 배달 중 미끄러져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 서울 광진우체국 이아무개씨의 경우 업무상재해 여부를 심사 중이다. 올해 1월 고용노동부 만성과로 인정기준이 변경되면서 산재를 신청하겠다는 유가족들이 적지 않다.

우정노동자의 높은 산재사망률은 초장시간 노동과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 7월 한국노동연구원의 ‘집배원 과로사 근절대책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집배원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2천869시간이나 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연평균 근로시간인 1천766시간보다 1천103시간을 더 일하는 셈이다.

집배원의 잇단 과로사·과로자살이 문제가 되자 우정사업본부는 지난해 9월 282명 인력충원 계획을 발표했다. 노동계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반발했다. 집배원 노동시간을 한국 평균 노동시간(2016년 기준 연간 2천113시간)에 맞추려면 4천500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자살사망자 심리부검을 하는 등 다양한 각도에서 대책을 세우고 있다”며 “주 5일제와 근로시간단축에 대해서는 노조와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